애니메이션 컨트롤러에서 Make Transition을 했을 때 현재 애니메이션에서
다른 애니메이션으로 방향을 정해줄 수 있습니다.
보면 Run 애니메이션과 Wait애니메이션이 서로를 가리키고 있는데 가리키는 화살표를 눌러보면
위 사진처럼 Inspector 창에 Transition에 관한 정보가 나오는데 여기서 Has Exit Time이 뭔지, 무슨 역할을 하는지, 사용 목적은 무엇인지 한번쯤은 의문을 가집니다.
Has Exit Time 정의와 역할
Has Exit Time | Exit Time 은 파라미터에 의존하지 않고 상태의 정규화된 시간에 의존하는 특별한 전환입니다. Exit Time 에서 지정한 시간에 전환이 발생하도록 확인해야 합니다. |
유니티 공식 문서에서 가져온 내용인데 주목할 부분은 "Exit Time 파라미터에 의존하지 않고 상태의 정규화된 시간에 의존하는 특별한 전환입니다."
이 말은 쉽게 말해서
애니메이터가 만든 애니메이션에는 분명 애니메이션을 촬영한 시간이 있을거란 말이죠?
현재 실행한 애니메이션을 촬영한 시간만큼 틀어주는걸 보장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1번 애니메이션을 Play하던중 다른 애니메이션을 틀 일이 없다 라는 말이죠
반대로 말하면 촬영한 시간 동안 다른 애니메이션은 틀 수 없다 라는 말이 됩니다.
Has Exit Time 사용 목적
Has Exit Time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해당 조건을 만족할 때 Condition을 통해 다음 애니메이션으로 곧 바로 바뀌지만
Has Exit Time이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조건을 만족해도 정해진 애니메이션 시간만큼은 반드시 다 틀어준 뒤
다음 애니메이션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부분에서 생각해보면 게임 캐릭터가 뛰다가 멈추는 애니메이션 같은 경우는 Has Exit Time의 설정을 풀어주어야 하는게 맞겠고
어떤 스킬을 사용한다면 스킬 애니메이션의 시간만큼은 반드시 틀어주어야 하니 설정을 해놓아야 합니다.
https://docs.unity3d.com/kr/2018.4/Manual/class-Transition.html
애니메이션 전환 - Unity 매뉴얼
애니메이션 전환(Animation transitions)을 사용하면 상태 머신이 하나의 애니메이션 상태에서 다른 애니메이션 상태로 전환하거나 혼합될 수 있습니다. 전환은 상태 간의 혼합이 가져야 하는 기간뿐
docs.unity3d.com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클릭해서 2D 오브젝트 감지하기 (0) | 2024.04.26 |
---|---|
[Unity] 맥에서 스크립트 주석 없애는 법 (0) | 2023.12.22 |
[Unity] 유니티 기본 강좌 #03 (키 입력 받기) (0) | 2023.09.21 |
[Unity] 유니티 기본 강좌 #02 (0) | 2023.06.23 |
[Unity] 유니티 기본 강좌 #01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