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해빈이는 패션에 매우 민감해서 한번 입었던 옷들의 조합을 절대 다시 입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늘 해빈이가 안경, 코트, 상의, 신발을 입었다면, 다음날은 바지를 추가로 입거나 안경대신 렌즈를 착용하거나 해야한다. 해빈이가 가진 의상들이 주어졌을때 과연 해빈이는 알몸이 아닌 상태로 며칠동안 밖에 돌아다닐 수 있을까?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가 주어진다. 테스트 케이스는 최대 100이다.
-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해빈이가 가진 의상의 수 n(0 ≤ n ≤ 30)이 주어진다.
- 다음 n개에는 해빈이가 가진 의상의 이름과 의상의 종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같은 종류의 의상은 하나만 입을 수 있다.
모든 문자열은 1이상 20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있으며 같은 이름을 가진 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해빈이가 알몸이 아닌 상태로 의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를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2
3
hat headgear
sunglasses eyewear
turban headgear
3
mask face
sunglasses face
makeup face
예제 출력 1
5
3
문제 조건 요약
- 같은 종류의 옷은 동시에 여러 개 못 입음 → 한 종류에서 최대 1개만 착용 가능
- 옷을 입지 않는 선택도 가능
- 하지만 아무것도 안 입은 경우(알몸)는 제외
예시로 이해해보기
종류가 A, B, C이고
- A 종류 옷: 2벌 → a1, a2
- B 종류 옷: 1벌 → b1
- C 종류 옷: 3벌 → c1, c2, c3
각 종류마다 선택지는?
종류선택지 개수
A | 2벌 + 입지 않기 → 3가지 (a1, a2, 안 입기) |
B | 1벌 + 입지 않기 → 2가지 (b1, 안 입기) |
C | 3벌 + 입지 않기 → 4가지 (c1, c2, c3, 안 입기) |
핵심 정리
항목설명
(의상 수 + 1) | 옷을 입는 경우 + 입지 않는 경우 |
전체 곱 | 각 종류에서 1개만 선택 가능하므로 곱셈 |
-1 | 아무것도 안 입은 경우 제거 |
점화식
위 내용들을 토대로 점화식을 짠다면 아래와 같다
(a + 1) × (b + 1) × (c + 1) × ... × (n + 1) - 1
각 알파벳 : 의상 종류
여기서 각 의상별 + 1을 하는 이유는 입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예제 입력에서 A가 2개 B가 1개 이기에
(A1), (A2), (B1), (A1, B1), (A2, B1)
으로 나눌 수 있다.
보면 의상 종류 A, B가 있다. 그렇다면 A를 입지 않고 B만 입을 수 있는 경우(A를 입지 않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 - 1은 알몸인 경우(아무것도 입지 않은 경우)를 뜻한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iostream>
#include <map>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plit(string input, string delimiter)
{
vector<string> ret;
long long pos = 0;
string token = "";
while ((pos = input.find(delimiter)) != string::npos)
{
token = input.substr(0, pos);
ret.push_back(token);
input.erase(0, pos + delimiter.length());
ret.push_back(input);
}
return ret;
}
int main()
{
int T;
cin >> T;
for (int i = 0; i < T; i++)
{
int n;
cin >> n;
cin.ignore();
map<string, int> clothes;
for (int j = 0; j < n; j++)
{
string line;
getline(cin, line);
auto pair = split(line, " ");
if (clothes.find(pair[1]) == clothes.end())
clothes[pair[1]] = 1;
else
clothes[pair[1]]++;
}
int result = 1;
for (auto cloth : clothes)
result *= (cloth.second + 1);
cout << result - 1 << endl;
}
}
split 함수는 굴러다니는 블로그에서 긁어썻다.
map을 써서 의상 종류를 구별하고 갯수를 카운트 시킨 뒤
마지막 for문에서 점화식을 그대로 적용 시키고 출력하게 했다.
반응형
'백준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백준 9461 파도반 수열 (0) | 2025.04.09 |
---|---|
[C++] 백준 11723 집합 (0) | 2024.11.22 |
[C++] 백준 2885 초콜릿 식사 (0) | 2024.07.08 |